작성일 : 10-09-24 11:38
세상 모든 사람들이 적어도 행복하기를..
|
|
 조회 : 4,741
|
http://blog.daum.net/truebad/ [1014] |
미안합니다. 23일까지 해야했는데.. 늦었네요. ^^;
1. 세상 모든 사람들이 적어도 행복하기를
경제학을 공부하다 보면 거의 마지막부분에 후생경제학 챕터가 있습니다. 공부한 지는 너무 오래되어 제대로 기억은 안나지만(틀린 부분이 있어도 용서를..) 사회의 후생을 어떻게 계량화할 것인가(아니면 어떤 사회가 적어도 좋다는 정도의 순위를 매길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주제입니다.
예를 들면 미국과 우리나라(또는 복수의 다른 나라들) 중에 어떤 나라가 살기 좋은(후생수준이 높은) 나라인가를 따지는 것인데 여기에는 총량의 문제가 아니라 해당 국가의 개개인의 효용이 어느 정도인지를 따지야 하고 또한 다른 사회와 비교를 하기 위해 룰을 정해야 합니다. 이 룰을 정하는 데는 정말로 많은 방법(경제학자 1명당 1개의 방법이 있을 정도로)이 존재하죠.
여기에는 빈부격차(소득의 불평등)를 어느 정도 반영할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팩터가 되는데. 빈부격차를 하나도 반영을 하지 않는다면 1인당 GDP로만으로도 비교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내 생각은 조금 극단적이긴 하지만 그 사회의 가장 가난한 사람의 효용이 그 사회의 효용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가난한 사람이 적어도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사회, 적어도 밥은 굶지 않으면서 미래를 지금보다 더 낫게 만들 수 있도록 노력을 할 수 있는 사회, 그래서 적어도 행복하다고 느낄 수 있는 사회. 그런 사회를 만들도록 정치하시는 분들이 노력했으면 좋겠으나... 요즘은 좀 (많이) 있는 분들이 정치를 해서 그런가 있는 사람 위주로 정책이 만들어지는 듯하네요.
왜 사람들은 먹고, 입고, 자는 데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부를 축적하려고 애쓰는 것인지 궁금하더라구요. (제가 워낙 가진 것이 없다보니 이런 생각을 하게 되더라구요. ㅋㄷ 전 더 축적할 것도 없어서 그런 지도 모르겠지만 ^^;)
전.. 적어도 행복합니다. ^^;
2. 언제나 한결같이 진실되게
이건 군대 있을 때 관물대에 좌우명으로 붙인 글입니다. 아직까지 기억이 나네요. 물론 언제나 한결같지는 못했지만 진실되게 살려고 노력은 했다고 생각합니다.
거짓말하는 사람이 거짓말로 인한 초과이익을 누리는 것을 싫어합니다. 거짓말하는 사람이 이익을 보고 진실한 사람들이 손해를 보는 사회.. 역시 너무 공정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요즘 예를 들면 한 연예인의 학력위조 사건 같은 것들이요. 물론 아직까지 자신은 위조하지 않았다고 하지만 (전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저도 그 문제의 카페에 가입이 되어 있구요. ^^;) 진실을 밝히는 데 정말 진실하다면 그렇게 어렵지 않거든요. 진실하지 못하니까 어렵게 어렵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